토질역학

철근및콘크리트학1- 철근 및 콘크리트의 개념

또묙 2023. 11. 15. 16:03
728x90
반응형
728x170

철근과 콘크리트는 건설 산업, 특히 건물, 교량, 댐 등과 같은 구조물의 설계 및 건설에서 두 가지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. 각 구성 요소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보강:

**1. 목적:

  • 보강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에 사용됩니다.
  • 이는 콘크리트만으로는 취급할 때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은 인장력에 저항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콘크리트는 압축력은 우수하지만 인장력에는 약하다.

2. 강화 유형:

  • 강철 보강: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보강은 강철입니다. 막대, 메쉬 또는 섬유 형태로 제공됩니다. 사용되는 강철은 탄소강이나 철근(철근)과 같은 고강도 강철인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섬유 강화: 전통적인 강철 강화 외에도 섬유(예: 유리, 합성 또는 강철 섬유)를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하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
3.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역할:

  • 인장 강도: 보강은 보의 바닥이나 슬래브의 상단과 같이 구조가 장력을 받는 부분에서 특히 중요합니다.
  • 굽힘 강도: 보, 기둥 및 기타 구조 요소에서 보강은 굽힘 및 굽힘 응력에 저항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균열 제어: 온도 변화, 수축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한 콘크리트 균열을 제어하려면 보강이 필수적입니다.

4. 설치:

  • 철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 거푸집 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됩니다. 보강재의 배치와 간격은 최적의 구조적 성능을 보장하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었습니다.

5.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반적인 유형:

  • 빔과 기둥: 보강재는 굽힘 및 축 하중을 견디기 위해 빔과 기둥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.
  • 슬래브: 슬래브에서 철근은 굽힘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콘크리트:

**1. 구성:

  • 시멘트: 콘크리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"접착제"입니다. 포틀랜드 시멘트가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.
  • 골재: 일반적으로 모래, 자갈 또는 쇄석이 혼합되어 있습니다. 이는 볼륨을 제공하고 콘크리트의 전체 비용을 줄입니다.
  • 물: 시멘트에서 화학 반응을 시작하여 경화시킵니다.
  • 혼화제: 강도, 내구성 또는 작업성과 같은 특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혼합물에 다양한 화학 물질을 첨가합니다.

2. 믹스 디자인:

  • 콘크리트 혼합 설계에는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을 결정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. 여기에는 강도, 작업성, 내구성 및 환경 조건에 대한 고려 사항이 포함됩니다.

3. 속성:

  • 압축강도(Compressive Strength): 축방향 하중이나 압축을 견디는 콘크리트의 능력.
  • 인장강도: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약하며, 보강재를 첨가하면 이 특성이 향상됩니다.
  • 내구성: 풍화 작용, 화학적 공격 및 기타 환경 요인에 대한 저항성.

4. 배치 및 경화:

  • 콘크리트는 건설 현장의 거푸집이나 거푸집에 부어집니다. 원하는 강도와 내구성을 달성하려면 적절한 배치와 압축이 중요합니다.
  • 양생에는 콘크리트가 설계된 강도와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분과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.

5. 응용 프로그램:

  • 기초: 구조물의 안정적인 기초를 제공합니다.
  • 구조 요소: 보, 기둥, 슬래브 및 벽이 주요 구조 구성 요소를 형성합니다.
  • 포장 도로: 도로, 보도 및 진입로에 사용됩니다.

요약하면, 콘크리트와 철근이 함께 작용하여 다양하고 견고한 건축 자재를 만듭니다.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철근은 인장강도를 높여 다양한 하중과 환경조건을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습니다. 철근 콘크리트로 알려진 이 두 재료의 조합은 현대 건축의 초석입니다.

 
 
 
728x90
반응형
그리드형

'토질역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토질역학4-압밀의 장점  (0) 2023.11.15
토질역학3-흙의 압밀  (0) 2023.11.15
토질역학2-흙의 다짐(compaction)  (0) 2023.11.15
토질역학1-흙의 개념  (0) 2023.11.15